본문 바로가기
DevOps

Linux 우분투 (ubuntu 22.04) MySQL 8.0 설치 및 대소문자 구분 설정 방법

by 태균맨 2025. 4. 16.

서버를 교체하면서 MySQL를 다시 설치하게 되었습니다.

 

터미널 MobaXterm
OS Linux ubuntu 22.04
패키지 툴 apt
설치할 DB MySQL 8.x

 

 

 

# 패키지 목록을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
sudo apt update

 

# apt를 사용해 mysql-server 다운로드
sudo apt install mysql-server

mysql-server 설치 중

 

 

# MySQL 서비스 시작
sudo systemctl start mysql

# 서버 재부팅 시 자동 시작
sudo systemctl enable mysql

 


저는 여기서 DB 대소문자 구분을 따로 설정해 줬습니다.

 

 

먼저 설정파일 경로를 찾아줍시다.

sudo find / -name "mysqld.cnf" 2>/dev/null

 

MySQL 설정 파일 경로

 

설정파일로 가서 vi로 설정 파일을 열어줍니다.

 

# 설정 파일 경로로 이동
cd /etc/mysql/mysql.conf.d/

# 설정 파일 열기
vi mysqld.cnf

 

vi 로 열어서 [mysqld] 아래에

lower_case_table_names=1 을 추가해 줍니다.

 

vi 기본 명령어

입력모드
커서 뒤에 입력 a
커서 앞에 입력 i
새 줄에 입력 o
저장 , 종료
vi 종료 :q  (쉬프트 ; + q)
저장하고 종료 :wq (쉬프트 ; + wq)
강제 종료 :q! (쉬프트 ; + q!)
저장만 :w (쉬프트 ; + w)
커서 이동
위로 k
아래로 j
왼쪽 h
오른쪽 l

 

 

lower_case_table_names
설정값 동작 방식 설명
0 (기본값) 대소문자 구분 (Unix/Linux) TB_USER != tb_user
1 대소문자 무시 (Windows/macOS의 기본값) 모두 소문자로 저장됨
2 대소문자 구분하지만 저장은 소문자로 macOS HFS

❓ 여기서 bind-address는 허용하는 아이피 대역대입니다. 저는 테스트 환경이라 0.0.0.0 (모두 허용 상태) 입니다.

 

 

:wq로 저장해 주시고,

 

MySQL를 재실행해주면 적용됩니다.

 

 

# MySQL 재실행
sudo systemctl restart mysql

 

 

DB에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이 없는 상태에서만 설정 가능하여 초기에 설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

그럼 이제 접속하시면 됩니다!

mysql -u root -p

 

성공~